Multi-here and Now 


October 15, 2021, 6:30 pm KST 
http://thefloorplan.net
& the Kathouse


Yeonhwa Hur, Ouroboros, 2017, 5 mins 46 secs
Ho Rui An, In-Residence, 2014, 17 mins 30 secs
Sora Kim, Abstract Walking – A spiral movement gradually distancing from a single point, 2012, 11 mins  
Hyun-Suk Seo, The Lost Voyage, 2011-2018, 72 mins 


Curated by Hyunjoo Byeon
Poster designed by Dokho Shin  


Here and Now. Exhibitions have long been concerned to present artworks in a certain space and time, often manifested as ‘here and now’. With the emergence of online and metaverse exhibitions, however, the concept of space and time for an exhibition is drastically expanded and we have become to experience art at multiple ‘here and now’. 

Highlighting the ways in which we transcend different spaces, Multi-here and Now suggest sharing the same ‘now’ to connect with each other when we see, hear, feel and interact with the artworks. Through the one-off screening on the Floorplan’s online platform, the viewer experiences the artworks and be gathered at the same ‘now’ yet ‘multi-here’; simultaneously, as a gesture of linking online to offline, the online screening is also projected at the Kathouse, created by the Obra Architects for gathering, as part of Live Projects,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2021. 

While Multi-here and Now uses limited time as a tactic for reimagining the notion of space for art, the presented artworks reconfigure, visualize, and examine the artists’ ideas about space beyond the linear time structure. In an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 of physical space given to the artist, Yeonhwa Hur perceives spaces as flexible and folds, unfolds, and often penetrates them like liquid. In Ouroboros (2017), which means an ancient symbol depicting a serpent eating its own tail, she represents how different spaces and times are connected and circulated, be it either virtual or real, by organically folding, unfolding, overlapping, and accumulating images. Meanwhile, in In-Residence (2014), Ho Rui An explores the different temporalities while being ‘in-residence’ onboard a transatlantic vessel for a scientific expedition. Contrasting the state with a world constantly in motion, the work crosses various times and spaces with the narration referenced from two fictional characters, Percival from Virginia Woolf’s The Waves and Mr. Palomar from Italo Calvino’s novel: representing the continuity of being like continuous waves and the figure who contemplates everything around us. Sora Kim explores space by adopting the action of walking, a simple yet fundamental way of physical displacement. In Abstract Walking – A spiral movement gradually distancing from a single point (2012), it becomes a metaphysical technique encompassing the aspects of undefined and dynamic features in our lives and traversing the tangible spatial and temporal territory. Performed by choreographer Youngdoo Jeong, the work describes a walk in between form and abstraction which is towards a disappearing point by using movement beyond language, while inviting the viewer to experience abstraction that would open up endless possibilities. The latest version of The Lost Voyage (2011-2018) by Hyun-Suk Seo, which has been transformed like Sewoon arcade, looks into its history designed by architect Swoo Geun Kim during the dictatorship years, a symbol of the ambitious modernization and redevelopment. Since 1968, the place has accumulated various stories, having been the most modernized building, a black market for pirate vinyl records and pornography, and a hub of master craftsmen, and so on. Also, it connects to the viewer at the multi-here with the space of the Kathouse, which is located in the plaza of Sewoon arcade. 

By interweaving multiple here with the same now, Multi-here and Now varies the established notion of ‘here and now’ for experiencing art and seeks possibilities of connectivity beyond the parameters of space and time. Even if we are bonded where we are mapped as Katherine Hayles stated, “in fact, we are never disembodied… we can see, hear, feel and interact with virtual worlds only because we are embodied,”* our minds can transcend different spaces, times, and ideas and conceive the ways in which we navigate in art. 

* Katherine Hayles. 1995. “Embodied Virtuality: Or How to Put Bodies Back into the Picture.” In Mary Ann Moser and Doug McCleod, eds., Immersed in Technology: Art and Virtual Environments. Cambridge, Mass.: MIT Press. 


Yeonhwa Hur attempts to overcome the size of limited space given to her through the landscape she creates inspired by everyday life. By using sculpture, installation, and painting, the artist visualizes her interest in bodies and fluid substances such as water, which signifies the environment where physical limitations have been resolved. Her recent exhibitions include the solo exhibition Floating People (Post Territory Ujeongguk, 2021) and World on the Move: Shortened vs. Extended (Insa Art Space, 2021), a group show for the September issue of Monthly Insa Art Space


Ho Rui An is an artist and writer working in the intersections of contemporary art, cinema, performance, and theory. Working primarily across the mediums of lecture, essay, and film, he probes into the ways by which images are produced, circulate and disappear within contexts of globalism and governance. He has presented projects at the Bangkok Art Biennale (2020), Asian Art Biennial (2019), Gwangju Biennale (2018), Jakarta Biennale (2017), Sharjah Biennial (2017), Van Abbemuseum (Eindhoven, 2018), Haus der Kulturen der Welt (Berlin, 2017), NTU Centre for Contemporary Art (Singapore, 2017) as well as in his recent solo exhibition The End of a Long Boom (Kunsthalle Wien, 2021). 


Sora Kim’s work is a map of floating movement, language, and illusion captured as an aspect, and also the trajectory of a ball thrown in all directions. The artist offers clues composed of a minimal amount of language to her collaborators in the position of an observer and then collects the processes of their interpretations. Starting from such undetermined clues, the results are united for a while but soon scattered in the form of sound, installation, or performance beyond language. Her work is everything yet nothing at the same time, revealing the world’s invisible possibilities and its weight of almost zero. Her recent major solo exhibitions include Walk Strangely, Stay Strangely (Time Museum, Guangzhou, 2018); Song from knee to chin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2016); 2,3 – A Project by Sora Kim (Korean Cultural Centre UK, London, 2015); Three Foot Walking (Kunsthal Charlottenborg, Copenhagen, 2013); Abstract Walking (Art Sonje Center, Seoul, 2012); and ___ (Atelier Hermes, Seoul, 2010). 


Hyun-Suk Seo examines space and sensible experience by using media such as video, performance, and writing. He investigates the formats questioning the boundary between artwork and its experience through site-specific performance and exhibition; meanwhile, he creates videos that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of nations in Asia and modern architecture in the 20th century, the time of transition. His work has been internationally presented at various shows including Performing Arts 2021: Multiverse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2021), Solidarity Spores (Asia Culture Center, Gwangju, 2020), 2019 Titlematch: Gimhongsok vs.SEO Hyun-Suk (Buk-Seoul Museum of Art, Seoul, 2019), Gwangju Biennale (2018), and the Korean Pavilion of Venice Architecture Biennale (2018), and his co-authored books include Future Art (2016) and Horror to the Extreme: Changing Boundaries in Asian Cinema (2009). He is also a co-editor of Ob.scene, the magazine on interdisciplinary arts. Seo is a professor at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s and Arts.

Multi-here and Now 

 

일시: 2021년 10월 15일 6:30 pm 

장소: https://thefloorplan.net/ 

        &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58 세운광장 캣하우스 

 

허연화, <우로보로스>, 2017, 5 mins 46 secs

호루이안, <인레지던스>, 2014, 17 mins 30 secs

김소라, <추상적으로 걷다 – 한 지점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나선형의 운동>, 2012, 11 mins 

서현석, <잃어버린 항해>, 2011-2018, 72 mins 

 

기획: 변현주 

포스터 디자인: 신덕호 


지금 여기에서. 역사적으로 전시는 주로 ‘지금 여기’로 상징되는 특정 시간과 공간에서 예술작품을 보여 주는 형식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온라인 및 메타버스 전시의 출현으로 전시를 위한 시·공간 개념은 급격히 확장되었고, 우리는 다중의 ‘지금 여기’에서 예술을 경험할 수 있게 되었다. 

《Multi-here and Now》는 우리가 다양한 공간을 초월하게 되었음을 조명하며, 예술작품을 보고 듣고 느끼고 소통할 때 서로를 연결하기 위해 같은 ‘지금’을 공유할 것을 제안한다. 더플로어플랜의 온라인 플랫폼에서 상영되는 단 한 번의 스크리닝을 경험하며 다중적 ‘여기’에서 같은 ‘지금’을 공유하길 바란다. 동시에 온라인과 오프라인 공간을 연결하려는 제스처로서 다중적 여기(들) 중 한 장소인 <캣하우스>에서도 온라인 스크리닝을 상영한다. 오브라 아키텍츠의 <캣하우스>는 2021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의 ‘현장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설치된, 화합을 위한 건축적 제안이다.

《Multi-here and Now》가 예술의 공간 개념을 재해석하기 위한 전략으로 제한된 시간을 사용하는 한편, 스크리닝되는 작품에서는 참여작가들의 공간에 대한 관념이 선형적 시간 구조를 넘어 재구성·시각화·탐색되어 펼쳐진다. 허연화는 작가에게 주어진 물리적 공간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공간을 유동적으로 인식하며, 접고 펼치고 때로는 액체처럼 투과하기도 한다. 자신의 꼬리를 물고 삼키는 뱀의 고대 상징을 뜻하는 <우로보로스>(2017)에서 작가는 이미지를 유기적으로 접고 펼치고 겹치고 축적하며, 가상이나 실제 어디에서든 다양한 시간과 공간이 서로 연결되고 순환됨을 재현한다. 반면 호루이안은 <인레지던스>(2014)에서 과학 탐사를 위한 대서양 횡단 선박에 ‘거주’했던 경험을 통해 다양한 시간성을 탐색한다. 끊임없이 이동하는 세계와 작가의 상황을 대비시키며 작품은 두 명의 소설 캐릭터에서 비롯된 내래이션과 함께 다양한 시·공간을 넘나든다. 두 명의 캐릭터는 버지니아 울프의 『파도』 속 퍼시벌과 이탈로 칼비노의 팔로마르로 이들은 멈추지 않는 파도 같은 존재의 연속성과 주위의 모든 것에 대해 사색하는 인물을 나타낸다. 김소라는 공간을 탐험하기 위해 단순하지만 기본적인 육체적 이동의 방법인 걷기 행위를 취한다. 하지만 <추상적으로 걷다 – 한 지점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나선형의 운동>(2012)에서 걷기는 우리 삶의 불확실하고 역동적인 특징을 아우르고 유형적 시·공간의 영역을 가로지르는 형이상학적 기술이 된다. 작품 속 정영두 안무가에 의해 수행된 걷기는 언어를 초월한 움직임으로 형상과 추상 사이에서 사라지는 지점을 향해감을 표현한다. 변화하는 세운상가처럼 확장된, 가장 최신 버전으로 상영되는 서현석의 <잃어버린 항해>(2011-2018)는 원대한 근대화의 꿈과 재개발의 상징으로 독재 정권 하에서 건축가 김수근이 디자인한 세운상가의 역사를 살핀다. 1968년 이후 세운상가는 가장 근대화된 건물, 해적판 LP와 포르노를 위한 암시장, 전문 기능공의 허브 등으로 변모하며 다양한 이야기를 축적해온 공간이다. 더불어 세운광장에 설치된 <캣하우스>에서 상영되는 작품은 다중적 여기의 한 장소이자 특정 공간에 관한 이야기를 그리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에 있는 관객을 잇는다. 

다중적 여기와 같은 지금을 연결하고 가르지르며 《Multi-here and Now》는 예술 경험을 위한 ‘지금 여기’의 기존 개념을 변주하고, 시·공간의 제한을 넘어선 연결의 가능성을 찾으려 한다. 캐서린 헤일즈는 가상성을 논하며 다음처럼 서술한 바 있다. “사실 우리는 절대 육체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우리가 가상적 세계를 보고, 듣고, 느끼고,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우리가 체현되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곳에 묶여 있는지 모른다. 그렇지만 우리의 정신은 다양한 시간 및 공간, 개념을 초월할 수 있고, 우리가 예술 내에서 항해할 수 있는 방법을 상상하게 한다. 


* Katherine Hayles. 1995. “Embodied Virtuality: Or How to Put Bodies Back into the Picture.” In Mary Ann Moser and Doug McCleod, eds., Immersed in Technology: Art and Virtual Environments. Cambridge, Mass.: MIT Press. 


허연화는 일상에서 마주하는 풍경을 만들며 한정된 공간의 크기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를 한다. 물리적 한계가 해소된 환경에서의 물과 같은 유동적 물질과 신체에 대한 관심사를 입체와 평면으로 시각화한다. 최근 주요 전시로는 2021년 탈영역우정국에서 열린 개인전 《Floating people》, 인사미술공간에서의 『월간 인미공』 9월호 《이동하는 세계: 단축과 연장》 등이 있다. 


호루이안은 동시대 예술, 영화, 퍼포먼스, 예술 이론의 영역을 넘나들며 활동하는 예술가이자 저술가이다. 주로 강연과 글, 필름을 주요 매체로 사용하여 글로벌리즘과 통치 방식의 맥락에서 이미지가 생산, 순환, 소멸되는 양상을 살핀다. 그의 작업은 방콕 비엔날레(2020), 아시안 아트 비엔날레(2019), 광주 비엔날레(2018), 자카르타 비엔날레(2017), 샤르자 비엔날레(2017) 등의 비엔날레는 물론 에인트호번 판 아베 미술관 (2018), 베를린 세계 문화의 집(2017), 싱가포르 NTU 현대미술센터 (2017) 그룹전과 쿤스트할레 빈에서 열린 개인전 《긴 호황의 끝》(2021) 등에서 전시되었다.  


김소라의 작업은 떠다니는 움직임, 언어, 허상의 단면을 포착해 그린 지도이며 이는 마치 모든 방향으로 던져진 공의 운동의 궤적과 같다. 작가는 작업의 출발점이자 동시에 관찰자의 위치에서 최소한의 언어로 된 단서를 협업자에게 전달하고, 그것이 이들에 의해 해석된 과정을 수렴한다. 미결정의 단서에서 시작된 결과물은 언어 밖에서 사운드, 설치, 퍼포먼스 등의 형태로 잠시 뭉쳤다 곧 사라진다. 김소라의 작업은 세계의 보이지 않는 가능성들과 그 가능성이 지닌 0에 가까운 무게를 드러내는, 모든 것이자 동시에 아무것도 아닌 것이다. 주요 최근 개인전으로는 《Walk Strangely, Stay Strangely》(타임즈 미술관, 광저우, 2018), 《무릎을 뚫고 턱으로 빠지는 노래》(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6), 《2,3 – A Project by Sora Kim》(주영한국문화원, 런던, 2015), 《Three Foot Walking》 (쿤스트할 샤를로텐보르그, 코펜하겐, 2013), 《Abstract Walking》 (아트선재센터, 서울, 2012), 《__》 (아뜰리에 에르메스, 서울, 2010) 등이 있다. 


서현석은 영상과 퍼포먼스 그리고 글쓰기를 통해 공간과 감각에 관한 탐구를 한다. 장소 기반의 퍼포먼스 및 전시를 통해 ‘작품’ 및 체험의 경계에 대해 질문하는 형식을 실험하는 한편, 20세기 전환의 시기 아시아의 국가 형성과 모더니즘 건축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영상 작품을 만들고 있다. 그의 작업은 《다원예술 2012: 멀티버스》(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21), 《연대의 홀씨》(국립아시아문화전당, 2020), 《2019 타이틀매치 김홍석 vs. 서현석: 미완의 폐허》(북서울미술관, 2019), 광주 비엔날레(2018),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 한국관(2018) 등에서 전시되었고, 공동 저서로 『미래 예술』(2016)과 『Horror to the Extreme: Changing Boundaries in Asian Cinema』(2009) 등이 있고,
다원예술 잡지 「옵.신」을 편집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영화를 가르친다.

List